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재웅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187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개인변인(성별, 교육경력, 결혼여부, 학교급)에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개인변인에 따라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 사이에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노종희(2001)의 “교사 직무만족도검사지”(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JSQ)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는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들 간에는 결혼여부를 제외한 성별, 교육경력별, 그리고 학교급별에 따라서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일반학교 교사들 간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교육경력과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만족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자교사가 남자교사보다 직무에 더 만족하고 있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직무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직무만족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이는 특수학교 교사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지위가 높아진 것을 반영하는 결과이며 특수학교 교사들 스스로 직무에 만족하고 있음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별로 볼 때, 동료애 부분에서 특수학교 고사가 일반학교 교사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특수학교의 업무 특성상 동료들과 함께 할 수 없는 부분이 많고,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발전성 부분에서 10년 이상 20년 미만의 일반학교 교사, 기혼 일반학교 교사, 일반 초등학교 교사들이 같은 개인 변인을 가진 특수교사에 비해 더 높은 직무만족을 나타냈다. 특수학교 교사들에게 더 많은 발전과 연수의 기회와 교사들 간의 협력과 장학의 기회들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 업무부담과 보상의 부분에서는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더 만족한다고 보고되었다. 특수학교 교사라는 직업이 사명감을 더 필요로 한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고려할 때 비슷한 업무량과 보상에서 더 높은 만족도의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교사 간의 직무만족도는 거의 차이가 없어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에 많은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특수교육의 발전과 교육의 발전, 나아가 나라의 사회·복지적인 발전을 위하여 매우 기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는 특수학교 기혼 여교사들을 위한 사회·복지적인 후원이 필요하며 일반학교 교사와 동등한 업무에 관련된 지원과 연수 기회 등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기하고 있다. 앞으로도 특수학교 교사들이 계속해서 자기 발전을 위한 기회들이 더 주어져서 특수교사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variables (sex, years in career, marriage condition, level of school)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and general school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and general school teachers under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riables. As an instrument to attain this study purpose, "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JSQ) by Roh Jeong Hee (2001) was adopted and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for data transaction,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carried out. Summarizing the study,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 years in career, and level of school for special school teachers with the exception of marriage conditi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years in career and marriage condition in the study for general school teachers. It appeared that female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male teachers and satisfaction level of teachers was different by the schol level.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job satisfaction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and general school teachers. It represents that social recognition and posi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became enhanced and special school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on fellow feeling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 teachers in the classification of subordinat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eculiarity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duty, they tend to deal with many duties for themselves without being together with their colleagues. In terms of development, general school teachers, married general school teachers,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ssessing over 10 years'' career and under 20 years'' career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special school teachers, who hold same individual variables. Special school teacher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 further and receive training, cooperate with colleague teachers and be awarded scholarship. In terms of duty volume and reward, it was reported that special school teach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general teachers. It is judged that this consequence of special school teachers'' high satisfaction in the similar duty volume and reward appeared to be deriv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voca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would need a more sense of duty. As I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and general school teachers and it reveals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has increased. Accordingly, it is a desirable thing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further, the development of socal welfare of our nation. However,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upport of social welfare for the married female teachers of special school is needed and the support and training opportunity in relation to the same duty as general school teachers should be given for special school teachers. The opportunities for the self development should continue to be given to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he efforts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special school teachers are deman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