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저장서비스의 기술수용에 관한 연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진화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경영
- 식별자(기타) 000000103169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중요한 데이터 및 정보를 자신만의 허락된 사이버공간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 저장 공간은 저장매체의 위치가 공간(spatial distance)개념을 초월하여 존재할 수 있어, 개인 또는 비즈니스 목적상 이러한 저장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기반의 지식경제 사회로 전환되면서, 사회 전체적으로 지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체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디지털 정보사회 플렛폼(information society platform)으로서의 사이버 저장 공간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이버 저장 공간을 이용하는 개인들은 어떠한 행동특징을 나타내는가, 이러한 사용자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인터넷 저장 공간 임대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기업차원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TAM과 SERVQUAL을 통합한 모형을 제시하고, 인터넷 저장서비스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요인들을 크게 개인특성(주관적 규범, 경제성), 시스템특성(용량, 보안), 서비스특성(서비스 유형성, 서비스 대응성)으로 나누어 탐색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터넷 저장 서비스 사용자들은 이러한 서비스가 경제적이라고 인식될 때, 서비스가 유용하다고 느끼고, 둘째, 인터넷 저장 서비스의 다양한 품질은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어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각각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스템 용량과 보안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어 사용자들은 이런 기본적 시스템 역할에 대해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인터넷 저장 서비스를 저장서비스 정도로 취급하는 기존의 생각에서 벗어나 이러한 인터넷 저장 서비스가 사회지식기반 네트워크 기능을 담당하여야 하는 점을 인식하고 강조한 첫 연구로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인터넷 저장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특성으로 가각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업모델 개발에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As e-commerce proliferates recently, more business information and personal knowledge such forms as digital documents, games, movies, musics, softwares, etc., are stored and exchanged through Internet. These kinds of digital knowledge representation should be stored and managed in social or organizational storage infrastructure, like personal monetary asset stored in banks,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both information itself and user. One such social storage platform is Internet Storage Service(ISS). In this study, I present an integration model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service quality(SERVQUAL) to investigate what determines user Internet storage service acceptance. The proposed model, containing six independent variables as, subjective norms, cost, storage capacity, security, service tangibility, and service responsiveness, grouped into more cohesive and meaningful three categories as individual, system, or service characteristics,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f ISS customers in Korean marke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as used to evaluat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uggested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wo independent variables, cost and service tangibility are influencing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perceived easy of use, respectively, and finally to the usage intent of the us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nd future research se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