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건강 정보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의 평판 시스템에 관한 연구 : Web-Based Reputation Systems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수영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문방송
  • 식별자(기타) 000000103160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오늘날 인터넷은 정보의 생산과 이용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는 수단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인터넷의 정보를 이용할 때, 우리는 수많은 정보 중에 적합한 것을 판단하고 선택해야 하는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이것은 어떠한 정보가 더 적절한 것인가 하는 문제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위해 필요한 것이 ‘평판 시스템’ 이다. 평판 시스템은 정보 이용자들이 어떤 정보가 더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용자들은 조회수, 정보의 출처, 답글 및 댓글 수, 평점 등과 같이 게시판에 존재하는 다양한 평판 시스템을 통해 적합한 정보를 판단하고 선택한다. 이와 같이 정보에 대해 신뢰를 부여하고 평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게시판에 참여하여 경험을 공유하는 상호작용의 과정이다. 즉, 정보의 이용과 선택에 있어서 평판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은 게시판 내에 존재하는 외형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이 참여하여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가와 관련되어 있다. 이용자들의 참여로 인터넷에서 정보에 대한 평판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은 정보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인터넷 커뮤니티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정보의 성격과 이용 목적에 따라 이용자들이 신뢰를 부여하고 참여하게 되는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평판 시스템을 살펴볼 때, 커뮤니티에 따라 각기 다르게 주어진 요소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참여로 어떠한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평판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해 본 것은 건강 정보에 있어서 각기 다른 평판 시스템을 지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이용자들이 정보를 이용하고 생산하는 유형에 관한 것이다. 소수의 전문인에게만 의존하였던 건강 정보는 CMC 환경에서는 누구나가 정보의 생산자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평판 시스템의 역할을 더욱 중요할 것으로 여겨지는데, 건강 정보는 선택하여 이용하는데 있어 이용자들의 건강 혹은 더 나아가 생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강 정보에 주목을 유발하고 신뢰를 부여하기 위해 각 커뮤니티에서 제공하고 있는 요소들은 무엇이며, 이용자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고 있는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에서 건강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커뮤니티를 선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인터넷에서 건강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형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인에 의한 인터넷 커뮤니티, 복합형 커뮤니티인 지식 검색 커뮤니티, 이용자 중심의 커뮤니티인 인터넷 카페에서 각 유형간 외형적인 평판 시스템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각각의 커뮤니티에서 정보의 생산과 이용함에 있어서 평판시스템을 구축하는 상호작용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3. 각각의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과 구전은 어떠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에 의해서 발생되고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세 가지 커뮤니티에서 가장 이용자들의 참여가 활발한 ‘질문과 대답’ 게시판을 분석하였다. 각 게시판에 작용하고 있는 평판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해서 우선 게시물의 조회수, 답글 및 댓글의 숫자, 평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내용적으로 게시판에서 어떠한 참여가 발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게시물의 성향과 제공되는 답글 및 댓글의 성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가장 많이 이용한 성향의 게시글의 성향과 가장 활발한 참여를 나타내는 게시물의 성향을 살펴보았고, 어떠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가 발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각 게시판의 상호작용 정도는 요청 정보와 대답한 정보와의 관련 정도와 메시지 교환 빈도를 통해서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상호작용 정도와 이용자의 특성을 통해 사회적 지지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건강 정보에 있어 활발한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커뮤니티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1 은 이용자들이 각 게시판의 게시물들을 어떻게 주목할 수 있는가와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가의 분석을 통해서 측정되었다. 각 게시판에서 공통으로 작용하는 것은 조회수였지만, 조회수가 가장 높은 게시물의 성향 또한 게시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 외에 각 커뮤니티에서 평판 시스템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전문가의 견해, 이용자들의 참여로 형성된 댓글의 숫자, 이용자들의 평점으로 구성된 정확도였다. 연구문제2 에 대해서는 조회수, 답글 및 댓글의 숫자, 평점 등과 함께 메시지의 성향에 따른 관련 정도, 메시지 교환빈도 분석을 통해 측정되었다. 각 게시판은 상호작용 정도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것은 이용 빈도를 나타내는 조회수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유방암 정보에 있어 가장 많은 이용이 있는 인터넷 커뮤니티는 지식 검색 커뮤니티였다. 이는 정보를 요청하는 게시글의 수와 조회수를 통해서 발견되었는데 포탈 사이트에서 누구나 조회하고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작용하였다. 그렇지만 1041 건의 질문 중에서 답변을 채택하고 이용자들의 참여로 평점이 주어진 것은 199건에 그쳤다. 이용자들의 상호작용 정도에 있어서는 카페 게시판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메시지 교환 빈도와 관련 정도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 3은 사회적 지지의 형태가 각 게시판에서 어떻게 발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요청하는 정보와 제공되는 정보의 유형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모든 게시판에서 주로 정보적 지지를 요청하고 있었으며, 정서적 지지의 요청은 카페 게시판에서만 일부 나타났다. 답글 및 댓글로 제공한 정보의 형태를 살펴보면, 정보적 지지가 가장 많았으며 지식인 게시판과 카페 게시판에서는 정서적 지지의 형태가 나타났다. 즉 이용자들은 정보이용을 목적으로 인터넷 게시판을 이용하지만, 답변을 제공하는 참여자에 의해서 정보적 지지와 함께 정서적 지지도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시판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이용자들은 건강과 관련된 정보적 지지를 위해서 인터넷 커뮤니티의 정보들을 찾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정보적 지지를 얻고자 인터넷 정보 검색을 우선적으로 하게 되는 것은 각 커뮤니티가 지니고 있는 평판 시스템에 의해서 정보에 신뢰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위의 결과와 함께 활발한 상호작용과 구전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내는 사회적 지지의 복합적인 요인을 찾기 위해 커뮤니티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이용자들은 정보적 지지를 위해서 인터넷 커뮤니티를 찾지만, 이용자간에 정보적 지지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발생하고 있었다. 보다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 커뮤니티를 찾지만, 지속적인 참여와 활동을 유발하는 것은 정서적 지지의 요인이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관점이나 태도를 바꾸는 평가적 지지가 발생하고 있었다. 정보에 대한 평판 시스템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구전의 효과와 영향력에 관한 것이 중심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판 시스템이 건강 정보에 있어서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고, 건강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커뮤니티에서 구전이 발생하는 원인과 그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건강 정보에 있어서 구전 커뮤니케이션은 보다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며 사회적 지지라는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 기존의 평판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과는 다른 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용자들은 각기 다른 평판 시스템을 지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차별적인 이용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방암 정보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지식 검색 커뮤니티를 이용한다면, 정보와의 관련 정도가 높은 이용자들은 전문가 커뮤니티, 이용자 중심의 커뮤니티 순서로 각각 활용하고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처럼 앞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이용자들의 수준과 참여 정도에 따라 적절한 평판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more

초록/요약

Individuals who use the web to obtain information face a high level of uncertainty as to the quality of that information. Reputation systems are one way in which information about past interactions can be used to form judgments regarding the quality of that information obtained via the web. This paper examines online word-of-mouth communication as the web-based reputation systems by analyzing what people say about and how change their attitude in supportive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Bulletin Board (BBS). Specifically, it considered online word-of-mouth shows a certain pattern according to reputation systems on the variable internet community. Moreover, this paper studied how these support communities facilitate participant similarity and empathic support and identifies changes in supportive communication.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posted. RQ 1 : Are there difference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nline reputation systems on the three-typed internet community ; expert oriented community, hybrid community and user based community? RQ 2 : Are there differences of contextual interactions of online word-of-mouth as the online reputation system on the BBS of an internet breast cancer support community? RQ 3 : How social support on the internet facilitates online word-of-mouth as the web-based reputation system in the health-related community?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message analysis has been executed on the three-typed community Bulletin Board, which has the most internet visitors among supportive community groups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additionally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upportive activities the members of the health-related community on the interne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structur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in not only quantities of interactivity such as the number of messages, replies, and participants, and count, but also in the qualities of message contents. In addition, these characteristics make differences in qualities and quantities of online word-of mouth communication as the web-based reputation system according to health-related community types. In the end, the result of participant observations shows these communities facilitate participant inform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and identifies changes in online word-of mouth communication. In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these findings suggest users recognize several different benefits of online word-of mouth communication as the web-based reputation system according to health-related community typ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