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Education in Emily Bronte''s Wuthering Height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박상기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영어영문
  • 식별자(기타) 000000103159
  • 본문언어 영어

초록/요약

In Emily Bronte''s Wuthering Heights the impassioned and ardent love is widely known between Heathcliff and Catherine. Howeve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n a deeper sense, she sharply points out the aspect of education through her novel. Her main argument is that human being''s original temperaments are already innately determined; education can not change human being''s original temperament. In addition, she accurately points out that education does not always make human being progress, instead she introduces the possibility of misuse of education through her work. This thesis, thus, focuses on education, because the aspect of education has not been approached and interpreted since her work was published in 1847. In Chapter I, I discuss the limitation of Education. Universally people thinks that human beings can reform through education. But Arthur Schopenhauer argues that through education human beings change their way of thinking from time to time but the original temperament of the human cannot easily be changed. Emily Bronte is of a similar opinion. Through her work she represents that education cannot change man''s original disposition even though it is possible for people to change their appearance and manners. Hence in this chapter I focus on three characters namely Catherine, Heathcliff and Hareton to represent human being''s genuine temperament can not change through education. I investigate the main motive of the three characters''s education; and I represent their transformation owing to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Among the three educated characters, it appears that Catherine and Heathcliff change their outward appearance and manner as a gentle young lady and as a gentleman respectively owing to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However, they do not get rid of their original disposition in spite of their education. Unlike these two characters, through the character of Hareton, we recognize that he becomes a much more worthy man than before because he inherits his good nature from his parents. That is to say, owing to his good temperament it is possible for him to become civilized man. In chapter II, I focus on the abuse of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is to enlighten people through education. Enlightenment thinkers were convinced that human beings can enlighten through education and they firmly believe that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human beings it is possible to enlighten the society and to make a rational society as well. Besides, Charlotte Bronte, Emily Bronte''s sister, shows that through education human being can progress and enlighten through the character of Jane Eyre in her masterpiece Jane Eyre. While Emily Bront? views that education can not always be used for the progress of human beings, instead she points out that education can be used as means of power through her novel. Namely, she represents the learned and educated people who use their knowledge either to take revenge on those who distress them or to achieve their aim instead of helping the ignorant. I concentrate on four characters, Hindley, Heathcliff, Catherine and Joseph, to represent the misuse of education. Hindley and Heathcliff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which is the fact that they nurse resentment; and after reappearing as educated men they use their education as the way of their vengeance. Educated persons know that education turns the uncivilized people into civilized ones and makes it possible for people to approach the benefits of culture. In other words, education enables people to know how society works and how they respond to it. For this reason they totally deprive the people, who torture them, of the benefit of education. We can make out that both men intellectually use their knowledge to torment other people so they make people much more degraded human beings instead making them much more worthy beings. Unlike Hindley and Heathcliff, Catherine and Joseph utilize their education to be contented with their own purposes. Catherine uses her education as the means to reach a higher social position. Joseph, as the hypocrite of the characters, never uses his knowledge for desirable things instead utilizes Bible to show his authority; he even speaks an abusive foul language without a hitch rather than help people to escape their ignorance. As discussed through this thesis, Emily Bronte''s Wuthering Heights shows the aspect of education well. We can find out that though most part of her lessons having been taken at home, she has a more shrewd view than any other contemporary writers. She admits to the importance of education; she brings up a very important question which is the limitation of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misuse of education through her work. Therefore, if Emily Bronte''s Wuthering Heights is read and analyzed more in depth, we can perceive that she has a great interest about education.

more

초록/요약

에밀리 브론테의 『워더링 하이츠』는 격렬하며 열정적인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의 사랑으로 아주 잘 알려져 있지만,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한다면 에밀리 브론테는 그녀의 작품을 통하여 교육 면에서 아주 날카로운 지적을 하고 있다. 그녀의 주된 주장은 사람의 기질이 이미 선천적으로 결정되어 있어서 교육이 사람의 기질과 본성까지는 바꾸어 놓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녀는 교육이 항상 사람을 진보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역으로 악용 될 가능성이 있음을 정확히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에밀리 브론테가 1847년에『워더링 하이츠』라는 작품을 출판한 이후 비평가들이 한번도 논의하지 않았던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의 첫째 장에서는 교육의 한계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보편적으로 사람들은 교육을 통해서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독일 철학자인 쇼펜하우어는 교육을 통해 사람의 생각은 변할 수도 있고 변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람 본래의 기질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쇼펜하우어와 비슷하게 에밀리 브론테도 교육을 통하여 사람의 외모와 행동은 변할 수 있지만 사람 본래의 기질은 변하지 않는 다는 것을 그녀의 작품을 통하여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장에서는 사람 본래의 기질과 성질은 교육에 의해서 바꾸어 지지 않는 다는 것을 캐서린과 히스클리프 그리고 헤어튼이라는 세 인물들을 통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 세 인물들이 교육을 받게 된 계기와 교육을 통하여 그들이 변해가는 과정을 나타냈으며 교육을 받은 세 명의 인물 중 캐서린과 히스클리프는 겉모습과 행동은 변한 것처럼 보이지만 교육을 받고 나서도 그들의 원래 기질은 버리지 못했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 두 인물과 달리 헤어튼이라는 인물을 통하여 선천적으로 부모로부터 좋은 기질을 물려 받았기에 교육을 통하여 문명화되고 교양 있는 사람으로 변할 수 있었음을 나타냈다. 본 논문의 마지막 장인 두 번째 장에서는 교육의 악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육의 주된 목적은 인간을 계몽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몽주의 사상가들도 인간은 교육에 의해서 계몽될 수 있으며 인간계몽을 통해 사회를 계몽하는 동시에 보다 합리적인 사회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또한 에밀리 브론테의 언니인 샤롯 브론테는 『제인에어』라는 작품에서 제인에어라는 인물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이 사람을 무지로부터 벗어나서 진보하며 문명화 될 수 있게 만들어 준다고 보았다. 하지만 에밀리 브론테는 이 작품을 통하여 교육이 항상 사람을 발전 시키기 보다는 교육이 힘의 수단으로 이용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즉 교육을 통하여 무지에 있는 사람들을 돕기보다는 그들이 배운 지식을 복수를 하기 위해서 사용하거나 자기가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명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교육이 악용 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서 힌들리와 히스클리프, 그리고 캐서린과 죠셉이라는 인물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힌들리와 히스클리프의 공통점은 서로가 원한적인 관계로 각각 교육을 받고 난 후 그들 자신들이 배웠던 교육을 복수의 방법으로 선택한다. 즉 교육이 사람을 문명화되게 만들고 문명화된 사람들은 문화의 혜택을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지식을 통해서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고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하게 자기를 괴롭힌 사람을 교육의 혜택으로부터 배제 시키는 행동을 한다. 이 두 인물은 교육을 통하여 배운 지식을 남을 괴롭히는데 지능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람을 문명화 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더욱더 퇴화되게 만들어 버린다. 이 두 인물과 달리 캐서린과 죠셉의 공통점은 자신의 목적을 만족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을 이용 한다. 캐서린은 그녀의 교육을 통하여 자신의 신분을 보다 높게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죠셉은 성경을 악용하는 인물로 성경을 통하여 자신의 권력을 나타나며 동시에 다른 사람들에게 종교적인 저주를 서슴없이 하는 인물로서 교육이 결코 바람직한 방향으로 쓰이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비록 에밀리 브론테는 대부분의 교육을 집에서 받았지만 그녀의 작품 속에서 우리는 그녀가 동시대의 어느 작가보다도 교육에 관해서 예리한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녀는 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교육의 한계점과 교육의 악용에 관해서 그 누구보다도 아주 명확하게 지적한 인물로서 『워더링 하이츠』라는 작품을 통하여 그녀가 얼마나 교육에 대해서 지대한 관심이 있었는지를 알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