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요청 화행의 공손성 습득에 대한 연구 : Politeness and Acquisition of English Modal Verbs for Request by Korean-Speaking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숙환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137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시행 후 문법번역식 교수법에서 벗어나 의사소통 기능을 익히는 회화중심의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문법이 영어교육의 방해가 된다는 인식을 교사와 학생들에게 심어주었다. 하지만 의사소통 능력의 습득은 문법적 지식의 습득과 함께 의사소통 기능의 습득은 물론 화용적 지식까지 습득하여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줄 아는 제2언어능력을 습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문법적 지식은 단지 형태에 대한 지식이 아니라 의미•화용적 측면으로 확대된 통합적 의사소통능력의 한 요소이다. 중간언어 발달론의 화용적 발달에서는 문법적 지식과 화용적 지식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왔었다. 특히 특정화행지식과 특정 문법지식의 상호작용적 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법조동사 지식과 서법조동사가 활용된 요청 화행의 공손성 표현 지식 수준과 이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요청 화행의 공손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맥락 및 상황요인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인식 정도도 알아보았다. 또한 성별, 외국체류 경험, 영어성취도 자가 평가 수준, 서법조동사 성취도 수준에 따라 분리된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를 통해 문법 및 화용지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 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의 서법조동사 지식이 요청 화행 공손성 지식보다 상대적으로 낮았고, 특히 인식적 서법조동사 지식이 의무적 서법조동사 지식보다 낮았음을 알았다. 그리고 서법조동사와 요청 화행 공손성 지식간에 미미하지만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체류경험과 서법조동사 및 요청 화행 공손성 성취 수준간 관계가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요청 화행 공손성 전략을 서법조동사와 연계하여 가르칠 필요성이 있으며, 또한 사회맥락과 상황을 포함하는 진정성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화용적 인식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의 화용적 지식 향상을 도와야 하겠다.

more

초록/요약

Previous studies have seldom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acquisition of English modal verbs by Korean-speaki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mmatical and pragmatic knowledge in L2 acquisition of politeness manifested by modal verbs. More specifically, the knowledge of modal verbs and of request strategies expressing politeness are the focus of investigation in this study. To collect the data, two tests were devised and conducted by studying 87 3r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The first test was composed of 20 questions about modal verbs. The second test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background information, knowledge of polite requests, and politeness related socio-situational factor awareness. The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the subjects’ knowledge of polite requests is related to their awareness of politeness related social-situational factor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t is likely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of modal verbs and pragmatic strategies for requests, and also between the knowledge of polite requests and the exposure to the target language cul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