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취동기 및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Identity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정택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130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고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성과 성취동기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성취동기가 성역할 정체성의 분화여부와 진로성숙의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고등학생들의 진로의식을 높이고 주체적인 진로선택을 돕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이루어져야 할 진로지도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5개 고등학교 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김혜래(2003)의 성역할 정체감 척도와 유창열(1986)이 제작한 성취동기 척도, 그리고 이기학과 한종철(1997)의 진로성숙도 척도를 설문지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취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양성성 유형의 학생들이 다른 세 유형(남성성, 여성성, 미분화)의 학생들보다 성취동기가 높았으며 미분화 유형의 학생들이 다른 세 유형의 학생들보다 성취동기가 낮았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성숙도는 양성적 유형이 남성적 유형과 더불어 여성적 유형이나 미분화 유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정체성(남성성, 여성성)과 성취동기, 진로성숙도는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성역할 정체성(남성성, 여성성)과 성취동기는 높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성취동기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고등학생의 성취동기와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역할 정체성에 따라 달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양성성의 발달을 촉진하는 학교문화로 변화시키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또한, 성역할 정체성을 형성하고 이는 성취동기을 통해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진로지도 프로그램에서 성취동기 향상을 돕는데 초점을 두어야 하겠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both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the achievement motivation influence the career maturity of the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It also analyzes whet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can work as the mediator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the career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intended to obtain some basic data that need to be used at schools and home in order to enhance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help them make independent decisions for the future. In this study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610 students from 5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of Korea. The test instrument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the Gender Role Identity Test developed by Kim, Hye-Rae(2003), the Achievement Motivation Test by Yu, Chang-Leol(1984), and the Career Maturity Test by Lee, Ki-Hak & Han, Jong-Cheol(199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role identit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 students in the androgyny type showed higher motivation than the other three types (masculinity, feminity, undifferentiated).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in the undifferentiated type indicated lower motivation than the other three types of the students (masculinity, feminity, differentiation). Next, the gender role identity also made striking differences in the career maturity. The androgyny and masculinity types showed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an the feminity and undifferentiated types. Final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differentiation of gender role identity,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career maturity. In particular, the differentiation of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highly correlated. The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achievement motivation worked as the mediator for the influence of the gender role identity on the career maturity. This study concludes that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be taught in accordance with the gender role identity to improve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To that end, a teacher should make every effort to create the androgynous classroom atmosphere where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can be maximized. Furthermore, a teacher keep in mind that the career maturity can improve through the achievement motivation which form the gender role identity. Consequently, a teacher should focus on designing a career guidance program that can facilitate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