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의 본래적 가치문제와 실용주의적 정당화 : The Intrinsic Value of Environment and its Pragmatic Justific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엄정식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철학
- 식별자(기타) 000000103108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논문은 이론적인 측면에서 환경보호의 근거나 토대를 제공해보려는 환경 철학자들의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면서 환경보호에 대한 새로운 정당화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그러기 위해서 환경보호를 정당화해주는 주요 근거로 여겨졌던 본래적 가치의 정체와 그에 대한 환경실용주의자들의 비판적 논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서 제시되는 실용주의적인 혹은 약한 인간 중심주의적인 정당화 논의를 검토해 본다. 인간의 활동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은 광범위하고도 강력한 것이 되어 20세기 중반 경에는 환경 위기라는 상황이 널리 인정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이러한 환경 위기는 도덕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렇게 환경위기가 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이것이 인간의 이해관계들(interests)이나 인간의 권리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따라서 제 1세대 환경 철학자들은 환경 윤리학의 과제를 어떻게든 인간이 아닌 자연에 도덕적인 지위를 부여하는 비인간중심적인 윤리 이론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자연 환경들 자체가 어떤 도덕적 지위를 갖고 그로 인해 도덕적으로 대우 받을 권리를 지님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덕적 지위 등에 호소하는 것은 생명을 가진 개체들에 한정되기 때문에 정작 환경 철학자들이 관심을 갖게 되는 생태학적 공동체 다시 말해 생태계와 같은 전체들에 대한 보호 근거를 마련해 주지 못한다. 따라서 환경 윤리의 문제는 이러한 도덕의 편협성으로 인해서 도덕에 대한 논의로부터 ‘본래적 가치’ 자체에 관한 보다 일반적이고 폭넓은 논의로 전환하게 된다. 그래서 일부 환경윤리학자들은 환경 윤리학을 주장하는 것은 바로 본래적 가치를 주장하는 것이라고 얘기하기에 이른다. 따라서 환경윤리학자들은 본래적 가치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게 되는데, 불행하게도 본래적 가치에 호소하는 것은 회의주의와 마주친다. 사람들은 본래적 가치를 제대로 표현하기 위한 언어를 갖고 있지 못한 것 같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본래적 가치의 다양한 의미 및 정체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살펴본다. 즉, 어떠한 속성이 자연의 본래적 가치를 정당화하거나 근거 지우는지, 어떠한 자연적 실재물들이 본래적 가치를 소유하고 어떤 것들이 그렇지 않은지 그리고 본래적 가치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부수적인 속성인지 아니면 주관적으로 부여되는 것인지 그리고 도구적 가치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부정적으로 정의된 속성인지 하는 미세한 철학적인 논의 등을 살핀다. 그리고 그것이 객관적이라면 당위를 함축하는지 하는 문제와 본래적 가치에 대한 다원론적 입장 등을 검토해본다. 그러나 이렇게 본래적 가치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소개되기는 하지만 좀처럼 만족스런 논의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논의의 다음 단계에서는 본래적 가치에 대한 실용주의자들의 비판을 살펴본다. 환경 실용주의자라고 자처하는 일단의 환경 철학자들은 이러한 본래적 가치가 그 자체 아주 독특하고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미심쩍은 형이상학적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몇 가지 전통적인 본래적 가치의 특징들과 문제점을 파헤친다. 따라서 일부 환경 실용주의자들은 인식론적으로나 존재론적으로 부담이 많은 본래적 가치를 피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간중심주의를 출발점으로 해서 논의를 발전시켜나가려는 시도를 한다. 정체가 불분명하고 또 제대로 정당화되지도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본래적 가치라는 용어를 받아들이기를 꺼려하고 또 격렬하게 반대해 왔지만 최근 들어 또 다른 일단의 환경 철학자들은 본래적 가치 논의를 환경 실용주의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민티어(Ben A. Minteer)와 같은 사람은 본래적 가치에 대한 주장이 여러 가지 문제를 드러내기 때문에 복잡한 환경 문제를 단독으로 해결해 줄 수는 없지만 그러한 가치에 대한 논의가 적절하게만 이루어지면 환경보호를 어느 정도 지지하게 만드는데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그러면서 환경 정책의 성공적인 정당화를 위해서는 정책과 대안에 대한 열린 숙고에서 다수의 비도구적이거나 도구적인 입장들을 창조적으로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캘리콧(J. Baird Callicott)은 자연의 본래적 가치를 인권개념과 비교하면서 논의를 펼친다. 먼저 그는 인권이 자연적인 것인지 신에게서 주어진 것인지 혹은 사회 계약의 전적인 산물인지에 대한 도덕철학자들의 논쟁이 분분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역사 속에서 상당한 실용주의적인 힘을 발휘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마찬가지로 본래적 가치도 그 의미나 정체 등과 관련한 철학적으로 미세하고 세 점들에 대한 논의가 분분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상당한 실용주의적인 효능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그는 지적한다. 자연의 본래적 가치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는 환경 운동가들이나 환경관련 기관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담론에 스며들어 그들 사이에서 새로운 담론을 다시 형성하기 시작했고 이것은 환경 관련 정책에 실용주의적인 효력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환경철학자들이 본래적 가치에 대한 제대로 된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 낸다면 본래적 가치는 환경보호하는 데 상당한 실용적 효력을 갖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 실용주의적 해법은 그럴듯해 보이긴 하나 약간의 논리적 결함을 지니는 것처럼 보이고 또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는 것 같다. 따라서 논문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노톤(Bryan G. Norton)의 약한 인간중심주의적인 접근방식을 환경보호의 정당화 근거를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모색해 본다. 노톤은 환경 윤리학은 정당화하기 어려운 자연에서의 본래적 가치들에 대한 주장들에 의지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면서, 본래적 가치를 가치에 대한 실용주의적인 개념으로 대치하고자 했다. 자연에 대해 착취적인 가치 체계들을 비판할 수 있는 충분히 완벽한 환경윤리학은 약하게 인간중심주의적인 근거들만으로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약한 인간중심주의에 의해서 정해진 한계들 내에서도 자연을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이유들을 발전시킬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수정된 인간중심주의는 비록 우리가 바랄 수 있는 최선의 것은 아니더라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이라는 것을 제안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은 당분간 가장 매력적인 것으로 보이기는 하나 미해결의 문제를 남겨둔다. 그래서 결론에서는 탐구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다원론을 간략하게 언급한다. 다원론은 일원론과 상대주의의 대안으로 제시된다. 다원론자들은 윤리학에는 오로지 하나의 옳은 대답만이 있을 수 있다는 일원론적 견해와 옳은 대답이란 있을 수 없다는 상대주의를 거부한다. 대신에 도덕적 다원론자들은 단일한 원리로 조화될 수 없는 다수의 도덕적 진리들이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환경 윤리 연구 역사의 일천함으로 인해 혹은 인간 능력의 한계로 인해 모든 다른 이론들을 물리칠 만한 단독의 작동 가능한 환경 윤리 이론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국 이러한 긴 논의의 끝에서 인식론적 겸손함으로 특징지어지는 매우 상이한 환경적 사고에 이르게 된다. 지적이거나 실천적인 문제를 막론하고 어떤 것도 진정 확실하지 않을 때는 무엇보다도 신중함과 용의주도함이 최고의 권위를 가질 뿐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mainly twofold. First, I critically examine the previous discussion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Second, I provide a new pragmatic justification for them. I examine, in particular, the issues regarding the intrinsic value of environment, which is often taken to be the main justification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I also deal with the criticisms environmental pragmatists raise against intrinsic values. Moreover, I examine previous pragmatic argument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defend weak anthropocentrism as an alternative.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nonhuman nature became almost ubiquitous on scope and unrelenting in intensity, so much so that nowadays the existence of an environmental crisis is widely acknowledged. And such environmental crisis seems to incur many moral disputes. However, that the anthropogenic extinction of many species adversely affects human interests or human right is not the only reason for such environmental crisis. First-generation environmental philosophers thought that we can really solve such environmental crisis only by taking the environment itself to have some moral standing. Thus they took the task of environmental ethics to be constructing a nonanthropocentric theory of ethics, which would somehow morally enfranchise nonhuman natural entities and nature as a whole. But merely appealing to such moral standing does not provide the sufficient ground for the preservation of ecological community, that is, the ecosystem as a whole. Thus the current environmental philosophy has shifted from a narrow focus on moral standing to a more general discussion of value, especially intrinsic value. Therefore, some environmental philosophers say that to hold an environmental ethics is to hold that non-human beings and states of affairs in the natural world have intrinsic value. This seemingly straightforward claim has been the focus of recent philosophical discussion of environmental issues. Unfortunately, however, appeals to intrinsic value often meet with skepticism. For it seems unclear what intrinsic value really is. Many people think that such value is merely subjective, a matter of personal opinion. Thus, when an instrumental value conflicts with such subjective value, the instrumental value often wins by default. The term ''intrinsic value'' has a variety of senses, so that many disputes on environmental ethics have arisen due to a conflation of these ambiguous senses. Thus in this dissertation I examine such various senses of intrinsic value and what intrinsic value really is. So I explore what property justifies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which natural entities possess intrinsic value, and whether intrinsic value is an objectively existing property or not. In addition, I explore that if intrinsic value is objective, such value entails any obligations on the part of human beings. But many previous defenders of nature''s intrinsic value did not show how such value contributes to the well-being of human agents. So I examine pragmatists'' criticisms of them. Some environmental pragmatists recognize that intrinsic value is an extremely intractable notion. Traditional ontologies associated with intrinsic value make us committed to problematic metaphysics, which most philosophers nowadays no longer accept. Thus some environmental pragmatists want to eschew such traditional ontology and to build out from readily available anthropocentric starting points. For many people are not willing to accept the notion of intrinsic value, which is hard to justify. But some other environmental philosophers argue that intrinsic value can be accommodated within an environmental pragmatism. Granted that a mere appeal to intrinsic value cannot solve complicated environmental problems, a philosopher like Ben A. Minteer claims that if properly treated, such value claims could support a degre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He thinks that successful justifications for environmental policy will be those that creatively draw upon a plurality of non-instrumental and instrumental positions in open deliberation over policy and management alternatives. Callicott, on the other hand, discusses the issue of intrinsic value, comparing with the concept of human rights. He reminds us that human rights has had enormous pragmatic efficacy in social ethics and policy, in spite of moral philosophers'' serious disputes regarding human rights, for example, whether it is given by nature, God, or a product of social contract. And then he claims that in environmental ethics the concept of intrinsic value in nature has an analogous function. This pragmatic argument seems to be plausible. Yet it has some logical defects, and it leaves some problems unresolved as well. Therefore, as an alternative, I defend weak anthropocentrism, which Norton first proposed. Norton thinks that environmental ethics does not need to rely on claims about intrinsic values in nature, which are very problematic. Thus he wants to replace intrinsic value with a pragmatic conception of value. On his view, environmental ethics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within the limits set by weak anthropocentrism he proposes. Clearly, weak anthropocentrism is an attractive option for environmentalists. For it requires no radical, difficult-to-justify claims about the intrinsic value of nonhuman objects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a framework for stating obligations that goes beyond concern for satisfying human preferences. His claim seems to be that this modified anthropocentrism is the best we can have, though not the best we might wish. But this suggestion, albeit attractive, still has some unsolved problems. Thus, at the end of this dissertation, I point out the limits of this suggestion and then mention pluralism as a possible way out. Moral pluralists deny "either-or dualism". Pluralism is an alternative to monism and to relativism. Pluralists reject the monist view that there is only one correct answer in ethics, while also rejecting the relativist claim that there can be no objective answer. Instead, they maintain that there is a plurality of moral truths that cannot be reconciled into a single principle. Finally, I suggest a very different sort of environmental thinking, one characterized by epistemological modesty based on an ongoing critical assessment of the bases of factual and normative claims about ourselves and our natural environment. In light of such an assessment, caution and circumspection would reign supreme in intellectual and practical matters alike. When nothing is truly certain, it is best to tread light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