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 쓰기 지도 연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주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099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의 중학생들에게 좀 더 효과적인 쓰기 수업을 제시하고자, 현행 중학교 2, 3학년 14 종의 교과서 중 3종의 교과서 6권을 선택하여 교과서의 쓰기 기능의 위치와 쓰기 과업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최근의 의사소통 접근적인 쓰기 지도에서 강조하고 있는 단순히 쓰기를 위한 쓰기 과업이 아니라 다른 기능과 연계된 쓰기 과업을 각 교과서별로 어느 정도 제시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쓰기 과업이 체계적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중학교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쓰기 부교재의 필요성을 느끼고, 쓰기 분석을 바탕으로 양적으로 질적으로 쓰기 과업 제시가 잘 되지 못한, A출판사 2학년 교과서의 쓰기 부교재를 제작하였다. 쓰기 부교재를 제작한 후, A출판사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선생님 30명을 대상으로 본 쓰기 부교재의 장, 단점, 현행 쓰기 교육에 대한 생각등에 대해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쓰기와 말하기등의 표현 기능은, 이해기능인 듣기와 읽기에 비해 현행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에서 경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해할 만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을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 못지 않게,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표현할 기회를 많이 주어야 한다. 말하기뿐만 아니라 21세기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글로 정확하게 쓸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쓰기 교육을 위해서 교사들의 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등의 계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한점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쓰기의 본질, 쓰기의 세 가지 유형 -통제작문, 유도작문, 자유작문- 의 특징 및 장, 단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현행 각광받고 있는 의사 소통 접근법에 따른 쓰기 지도에 대해서도 알았보았다. 마지막으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쓰기의 성취기준이 어떻게 언급되어 있는지 8단계(중학교 2학년), 9단계(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 III장에서는 중학교 2, 3학년 교과서 6권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우선 교과서에서의 쓰기의 위치를 다른 기능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쓰기의 유형, 다른 기능과 통합한 쓰기 과업 제시 비율등을 살펴보았다. 그 후, 쓰기 과업 제시에 있어서 양적으로 질적으로도 가장 부족한 A출판사의 2학년 교과서의 쓰기 부교재를 제작하였다. 총 12과 중 4과의 쓰기 부교재를 제작하였고, 체계적인 쓰기 과업, 다른 기능과 연계한 쓰기 과업, 쓰기 전 활동 제시 등에 중점을 두어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A출판사 교과서로 가르치는 서울 지역 30명 선생님을 대상으로 본 쓰기 부교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부교재의 장, 단점 및 쓰기 교육에 대한 의견으로 이루어 졌다. 마지막으로 평가의 결과는 백분율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제 IV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정리한 후, 앞으로의 계속적인 연구를 위한 제언을 실었다. 즉, 좀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의 계발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ways of teaching writing skills in a middle school in Korea. To provide effective ways of teaching writing,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production of a writing workbook, and the evaluation of a writing workbook through the survey of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in Korea have been carried out. Writing skill has relatively been ignored compared with listening, reading and speaking skills in the Korean curriculum, but writing is one of the essential skills to express students’ opinions in the 21st century. In addition, writing is considered as a good way of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writing as well as speaking is one of the ways for communication. The structure of my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1, I discus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my study. Then, the limitation of my study is provided. After that, the structure of my thesis is introduced. In chapter 2, I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writing. The definition of writing, the types of writing; controlled writing,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are examined closely. In addition, the recent theoretical framework of writing; communicative approach writing is suggested. Finally, I look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In chapter 3, I analyze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percentage of writing skills compared with other skills. I also analyzed the types of writing, writing tasks related with other skills provid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Three kinds of middle school 2nd and 3rd English textbooks used a lot in the middle schools of Seoul, Korea are chosen. Therefore, six books of middle school 2nd and 3rd grade are analyzed. After analysis, I found the structure of writing tasks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is not consistent and systematic. I also found that the writing tasks in the textbooks are just comprehension questions of reading passage. Therefore, as an alternative way to teach a writing skill, I made a writing workbook of 2nd grade middle school textbook of A company. The characteristics of my writing workbook are as followed. First, the writing workbook suggests only paragraph writing. In other words, simple sentential level writing is not included. Second, the writing tasks are systematic. In other words, one lesson includes many kinds of writing activities: controlled writing,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Third, tasks related with other skills such as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are produced. Integrated tasks are very important in recent writing theory. After making a writing workbook, a survey was carried out. I distributed the survey sheet to 30 teachers of six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The content of the survey sheet is about the strong points and weak points of this workbook. It also includes the opinion about teaching writing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nalyzed based on the percentage of each item. Chapter 4 provides my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advice for teaching writing in Korea. I emphasize the production of various teaching materials for teaching writing effectively in Kore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