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건설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전략 : Strategy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 지도교수 이철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영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092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기업의 세계화 움직임은 이제 건설업계도 예외가 아니다. 전 세계 크레인의 20%가 가동되고 있다는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를 비롯하여 중동, 중국, 베트남, 인도 등 세계 곳곳의 신흥 산업 도시는 지금 건설 붐이 일고 있다. 이렇듯 세계 시장의 건설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해외 진출 기회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현지 국가의 건설 수준이 향상된 반면, 우리나라의 건설 역량은 1997년 IMF 관리 이후 크게 성장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건설업계는 기존의 건설수요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세계화에 걸맞은 수요까지 충족시키기 위하여 세계 건설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하며 따라서 국제 환경 변화와 국내 건설사들의 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점은 우리나라의 건설업계 수준이 어느 정도 인지를 파악하는 일과 이를 토대로 한 중장기적인 건설 산업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는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도 이러한 두 부분에 있다. 본 논문은 포터 박사의 다이아몬드 이론 (Porter''s Diamond Theory)을 도입하여 부존자원, 수요조건, 연관 산업, 기업전략, 구조, 경쟁 및 정부의 역할로 나누어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국제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가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다른 나라들 (주로 미국, 일본)과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 비교 하였다. 특히 생산성과 종합 기술력을 국제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국내 건설 업계의 위상을 가늠해 보았다. 먼저 건설 산업의 기술력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건설업의 노동생산성, 건설업의 GDP 구성비, 특허등록 건수, 근로자 1,000명당 특허등록 건수, 그리고 국가 정보화 지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건설업의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은 물론 각 대상 국가의 부가가치 생산, 건설업 취업자 수, 노동장비율, 부가가치 성장 기여율 등을 통하여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총 요소 생산성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우선 숙련공의 부족으로 인하여 국내의 노동 생산성이 다른 나라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해외 시장에서의 낮은 경쟁력을 국내 시장에서 만회하려고 선수주 후손익의 경영을 하고, 이는 수익의 급감으로 이어져 R&D 투자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또다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악순환을 되풀이한다는 점이었다. 세 번째로는 국내 건설 시장의 35%를 차지하는 공공부문의 발주체제가 발주 변별력이 없을 뿐 아니라 사업의 특성과 무관하게 너무 표준화된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기술에 대한 변별력 없이 가격에만 의존하는 구조로 가고 있으며 이는 국내 건설사들이 기술 개발을 등한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네 번째로, 국내 건설업의 생산성 향상의 대상은 항상 시공 부문에 집중되어 있어 생산성과 건설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획 및 엔지니어링의 역량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 번째로 도출된 문제점은 국내 건설업이 국가 주도의 성장 논리에 이끌려 기술 발전보다는 수주 확보에 역량이 집중되어 왔으며 따라서 국내의 건설 업체들은 시장 중심의 국제 건설 시장에서 점점 멀어져 왔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건설업은 그 동안 비리와 부정의 중심에 있었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국민들에게 심어주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국 한국 건설업계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가장 큰 걸림돌이다. 결론적으로 전술했던 상황들을 극복하고,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R&D 투자의 확대, 건설기능인력 확보 및 육성 등 부존자원을 공급하고 품질, 안전, 유지관리 기반구축, 건설 산업 이미지 개선 등 조건을 개선해야 하며, 또한 건설관련 제도의 개선과 해외건설 활성화 및 건자재 공급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건설 산업의 경쟁력과 투명성을 함께 높여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globalization of enterprises began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part of such movement as well. The construction boom is breaking out in new industrial cities including the Middle East, China, Vietnam and India as well as Dubai of UAE, where 20% of all the tower cranes in the world can be found. While construction demand in global markets has been increasing, prospects for Korean enterprises to enter into overseas markets is shrinking. This is because while the local contractor’s level of construction industry in many countries has improved, Korean contractor’s capability has not significantly grown since its 1997 financial crisis.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needs to secure its competitiveness in global construction markets and to urgently find out the proper approaches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onstruction enterprise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o meet the demand suitable for globalization as well as to satisfy domestic market demand. The main task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which it should set a long-term strategy that would strengthen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Accordingly,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related to these two requirements. Adopting Dr. Porter’s Diamond Theory, this study realizes the status of pres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it, by divid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into Factor Endowment, Demand Condition,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Firm Strategy, Structure, Rivalry and the Government’s roles. Next, it suggests and sets the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th respect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technical cap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Korea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mainly USA and Japan) in various aspects.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n international society was estimated by comparing with and analyzing the productivity and general technical power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that of other countries. First, the labor productivity, GDP ratio, number of patents, number of patents per 1,000 workers, and national information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technical power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urthermore,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labor productivity, capital productivity,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using the value-added production, number of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labor equipment ratio, and contribution ratio to the added value increase of each country as well as of Korea. From the aforementioned research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the labor productivity of Korea is remarkably inferior to that of other countries due to Korea’s lack of skilled workers. Second, the construction industry of Korea receives orders first and considers losses and profits later to recover from its weak competitiveness in overseas markets compared to its domestic market. Such a management style causes rapid decrease of profits and finally fails to induce R&D investment. Consequently,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is again weakened. The vicious cycle is repeated. Third, the bidding system for placing orders in the public sector, which accounts for 35% of the construction market of Korea, has no function and ability to discriminate among orders. Furthermore, since the bidding system requires standard procedures that are completely unrelated to the features of each project, the structure depends only on the price. This causes domestic construction enterprises to neglec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Next, since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lways concentrates on construction sector, its planning and engineering capability, which has critical impacts on its productivity and construction quality, becomes weak. Fifth,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concentrated its competency on securing orders rather than developing technologies due to the government-led growth logic. According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gradually estranged from the global construction market. Final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come to have a negative public image of internal corruption. These problems are the most serious stumbling blocks to improv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n conclusion, to overcome and improve the abovementioned situations, it is required to reform these conditions, aside from expanding its R&D investments, supply of endowed resources such as by securing and cultivating skilled manpower for construction, implementation of foundations for quality, safety,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industry’s image. Furthermore, the construction industry needs to enhance its competitiveness and transparency by revamping its construction-related systems, pursuing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and implementing a cost-efficient procurement syste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