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산소성운동과 저항성운동의 순서가 운동대사에 미치는 영향 : Mixed aerobic and resistant exercise pattern on metabolic variable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대혁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086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성운동과 저항성운동의 순서에 따른 운동대사 변인, 즉 산소섭취량, 총에너지소비량, 총지방연소량, 총탄수화물연소량, RQ을 규명하여 비교하고 이에 따른 운동대사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하여 현장에서 이론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운동순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50세 전후의 여성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산소성운동과 저항성운동의 순서를 다르게 하여 실험측정치를 얻었다. 유산소성 운동은 카보넨의공식을 이용하여 목표심박수를 산출해 50%강도로 실시하였고 저항성 운동은 50% 1-RM의 강도로 실시하였다. 운동량은 총 한 시간으로 유산소성운동과 저항성운동 각각 30분씩으로 하여 일주일의 차이를 두고 운동순서를 바꿔 실시하였다. 운동 시 관찰된 주요 운동대사 변인은 산소섭취량, 총에너지소비량, 총지방연소량, 총탄수화물연소량, RQ 이며 가스분석은 Medgraphics (U.S.A) 의 VO2000을 이용해 실시하였다.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은 연령 (year) 51.833.62, 신장 (cm) 155.664.63, 체중 (kg) 60.017.26, 체지방율 (% fat) 28.566.64, 체지방량 (kg) 17.335.09, 근육량 (kg) 23.463.51이다. 자료처리는 운동순서에 따른 운동대사 변인들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paried t-test를 이용하였다. 1. 산소섭취량은 유산소성저항성 순서의 운동이 평균 19.44mlkgmin으로 저항성유산소성 순서의 운동의 평균 14.77mlkgmin보다 크게 나타났고 총에너지소비량도 유산소성저항성 순서의 운동이 평균 291.00cal로 저항성유산소성 순서의 운동의 평균 200.53cal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총지방연소량도 유산소성저항성 순서의 운동이 평균 14.67gr로 저항성유산소성 순서의 운동의 6.01gr보다 높게 나타났고 총탄수화물연소량도 유산소성저항성 순서의 운동이 평균 39.75gr로 저항성유산소성 순서의 운동의 36.60gr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RQ는 유산소성저항성 순서의 운동이 평균 0.88로 저항성유산소성 순서 운동의 0.93보다 낮게 나타났다. 2. 운동순서에 따른 운동대사 변인은 산소섭취량(t=2.348;p=.047), 총에너지소비량(t=2.596;p=.032), 총지방연소량(t=3.441;p=.009), RQ(t=-2.673;p=.028)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총탄수화물연소량(t=.735;p=.493)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산소성운동과 저항성운동의 순서에 따른 운동대사 변인들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고, 이 두 가지 운동을 병행하여 시행 할 경우 유산소성 운동을 먼저 실시하는 것이 총에너지소비량과 총지방연소량을 증가시키는데 더욱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현재까지 유산소성운동과 저항성운동의 다양한 형태와 강도가 운동 시 운동대사 변인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유산소성운동과 저항성운동을 혼합하여 시행하였을 때 운동순서에 따른 차이점을 규명하는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순서와 강도에 따른 차이점을 규명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In this paper, effective exercise sequence was proposed based on the comparison and verification about metabolic variables (VO, total calory, total fat, total CHO and RQ) for mixed aerobic and resistant exercise patterns. The experimental order of aerobic and resistant exercise of research sample was 5 women average 50 years old. The intensity of aerobic exercise was 50% of target heart rate using formality of Karvornen and resistant exercise set it 50% of 1-RM. Subjects was performed aerobic and resistant exercise 30 minutes each for hour, and changed exercise order for another trial for next week. Metabolic variables was measured during exercise which were VO, total calory, total fat, total CHO and RQ. Gas analysis used VO2000 of Medgraphics (U.S.A). Data analysis was used paried t-test via spss 12.0. 1. The average VO of aerobicresistant exercise pattern was 19.44ml/kg/min that was higher than the average VO of resistantaerobic exercise pattern which was 14.77ml/kg/min. The average total calory of aerobicresistant exercise pattern was 291.00cal which was higher than the resistantaerobic exercise pattern of 200.53cal. But there was much different value of total CHO that 39.75gr of aerobicresistant exercise pattern than the other one of 6.01gr. 2.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metabolic variables that VO(t=2.348; p=.047), total calory(t=2.596; p=.032), total fat(t=3.441; p=.009) and RQ(t=-2.673; p=.028) which was caused by exercise patterns, but no difference of total CHO(t=.735; p=.493). In conclusion, aerobic and resistant exercise pattern make the difference of metabolic variables. And it''s effective training that to do aerobic exercise first for total calory and total fat. There are many research result that effect of metabolic variables caused by variable training form of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t exercise. But, only a few research about training of mixed aerobic and resistant exercise has done. So, it''s important to do research of searching examination about variable sequence and strength of train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