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경제적 상호의존 분석을 통한 경제교류의 방향 연구 : A Study on Mutual Economic Dependenc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nd Directions for South- North Economic Exchange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수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085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논문은 남북한 경제적 상호의존 분석을 통한 경제교류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교역을 통한 평화이론을 바탕으로 남북한 경제교류 현황을 통해 교역현저성(salience)과 교역대칭성(symmetry)을 도출하여 남북한의 경제적 상호의존 분석결과에 근거한 경제교류의 방향을 남측의 시각에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교역을 통한 평화이론과 같은 기능주의적 접근의 전제조건은 개방되고 다원화된 민주주의 정치체제간에 응용되는 이론으로서 여타 체제와의 관계에는 그 적실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서 한반도에서의 기능주의적 접근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구 동독의 경우만 하더라도 기능주의적 발상인 동방정책이 독일통일의 직접적인 요인이 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기능주의 이론이 독일통일을 가져오는 촉매역할을 하고 통일과정을 쉽게 만드는 제한된 효능은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능주의 접근의 남북관계 적용 가능성을 남북한 경제적 상호의존 분석을 통한 경제교류의 방향 모색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러면 1989년부터 2005년까지의 남북한 경제교류자료를 이용하여 남북한 경제적 상호의존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겠다. 첫째, 북한의 대남 교역비율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여 왔다. 남한의 대북 교역비율은 아직 낮은 수준을 나타내지만 교역초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남북한 교역 현저성은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남북한간의 교역이 남북한간의 분쟁에 영향을 주기에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남북한 교역대칭성은 그 지수가 점차 감소추세에 있지만 아직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남북한 교역관계가 일방적 종속관계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남북한 교역대칭성이 교역초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인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있는 점은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남북한 경제적 상호의존에 관한 측정결과는 우선적으로 남북한간의 경제교류가 현재 대칭적 관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점진적으로 교역규모의 균형 구조가 낮아지고 있다. 앞서 제시된 교역대칭성이 남북교역 초기부터 현재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추세에 있기에 적절한 방안 마련을 통해서 남북간 교역규모의 균형을 유지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남북한 경제교류 및 상호의존에 대한 남북한의 입장은 궁극적으로 남북한간 경제공동체의 건설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반면, 남한기업들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경제적 이득을 덜 중시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경제적 이윤추구에 있다. 북한정부의 입장으로는 남한의 대북 경제적 영향력을 최소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제교류․협력 확대에 단기적으로는 동의하는 태도를 보이다가도 일정수준의 경협이 진전되면 제동을 걸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북한당국은 자국경제의 대남 의존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할 것이다. 교역을 통한 평화이론은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하나의 이론으로 꼽을 수 있다. 이 이론에 기초한 남북한 경제교류는 첫째, 한반도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남북한간의 긴장과 대립을 완화하고 해소시킴으로써 남북한 긴장관계를 협력관계로 전환할 수 있다. 둘째, 북한이 현재 당면하고 있는 경제위기를 해소시키는 동시에 시장경제와의 접촉을 확대시켜 점진적인 체제전환을 불러 올 수 있다. 셋째, 외부의 개입 없이 우리의 노력으로 평화통일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민족의 자주역량을 회복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교역과 분쟁에 관한 이론을 한반도에 적용하여 남북한간의 경제교류가 이러한 긍정적 평화효과를 제공하려면 남북한 경제교류는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최우선적으로 남북한간의 경제교류를 활성화 시켜 그 규모를 상당한 수준까지 끌어올려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남북한 경제교류의 제도 정립과 정부간 접촉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남북간 경제교류 규모의 확대와 교역규모의 균형 유지가 필요하다. 넷째, 국제무역질서 개편에 따른 남북교역 체제의 확립을 통한 민족내부교역으로서의 남북경협에 대한 국제적 인정과 협력 문제가 필수적인 사항이다. 남북한 경제협력교류는 오늘날 한반도에서 많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남북교역 현황을 보더라도 현재 남북한 관계는 과거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변화와 발전의 배경에는 남북한 경제교류의 활성화가 있을 수 있다. 남북한간의 경제적 교류의 확대와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협력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단순한 경제적 협력만이 아닌 진정한 정치적 동반자적인 성격을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북한도 생존을 위해서는 남한과의 교역에적극적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현재의 낮은 수준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에 대한 활성화를 통해 남북한간의 바람직한 경제교류의 방향으로의 전환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utual economic dependenc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nd thereby, suggest the directions for economic exchanges between two Koreas. Specifically, based on the theory of peace through trad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economic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nd thereupon, derive trade salience and symmetry to explore the directions for South-North economic exchanges from a perspective of South Korea. Such functionalism approaches as ''peace through trade'' may well apply to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and pluralized democratic regimes, while being less applicabl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political systems. Namely, the functionalism approaches may not well be adequate to the Korean peninsula. Even in case of the former East Germany, West Germany''s eastern policy, a sort of functionalism approach, did not seem to conduce directly to their national unification. Nevertheless, the functionalism theories may have facilitated the German unification and accelerated its process, though limitedly. In such a view, this study reviewed applicability of the functionalism approaches to South-North relationship for analysis of mutual economic dependency and exploration of the directions for economic exchanges between two Koreas.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about South-North economic exchanges between 1989 and 2005 to gain some insight into mutual economic dependenc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North Korea''s trade with South Korea to their total foreign trades has increased drastically. Although North Korea still is a very small trading partner of South Korea, their share in South Korea''s trade volume has steadily increased so far. Second, since the trade salience between two Koreas is still very low, it is judged that South-North trade may have little effects on the inter-Korean disputes. Third, although South-North trade symmetry indicative tends to be smaller and smaller, it is still deemed big. However, South-North trading relationship may not yet be branded as one-sided dependent relationship. Nevertheles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ontinuously decreasing South-North trade symmetry indicativ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mutual economic dependency between two Koreas,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are more or less symmetric now, they become less and less symmetric. To reiterate, since such a symmetry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the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started, it is deemed required of South Korea to take some measures to recover the trade symmetry or balance. South Koreas'' ultimate goals of such mutually dependent economic exchanges lie in construction of an inter-Korean economic community. In contrast, South Korean companies pursue economic profits in the long run despite they should emphasize such profits less in shorter term.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agrees to expansion of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and cooperations in a shorter term in anticipation of South Korea''s minimal influence over their economy, but once the economic cooperations have progressed to a certain level, they would check them, while attempting to systematically manage their dependency on South Korea''s economy. The theory of peace through trade may well be useful as a direction for construction of a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based on this theory may well be evalua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y would serve to ease South-North tension and confrontation and develop a cooperative inter-Korean relationship; second, they may help North Korea to solve their pending economic crisis, expand their contacts with market economies and thereby, change their regime gradually; third, they may conduce to our efforts for a peaceful unification without foreign interventions by recovering Korean people''s self-reliance. Then, if we want to make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act positively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applying the theories about trade and disputes, we need to review how the economic exchanges should proceed. First, we need to activate South-North economic exchanges and increase them to a certain level. Second, it is desirable to institutionalize the economic exchanges and expand the inter-governmental contacts. Thir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balance of trade between two Koreas, while expanding it. Fourth, it is essential for South Korea to cooperat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have the South-North economic exchanges and cooperations acknowledg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inter-Korean transactions within the international trade order. Today, South-North cooperation and exchanges are very significant for us historically. And South-North relationship seems to have progressed much, given the trade volumes. In other words, South-North relationship has been improved by increasing economic exchanges and cooperations. So, it is required of South Korea to develop such exchanges and cooperations not simply as economic relationship but as a genuine political partnership. North Korea is obliged to be positive in South-North economic exchanges and cooperations if they wish to survive. Lastly, it is hoped that South-North exchanges and cooperations will be promoted to be desirab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