現代獨逸語의 間接話法에 있어서의 「Modus」硏究
- 주제(KDC) 850.000
- 발행기관 西江大學校 獨語獨文學會
- 발행년도 1977
- 총서유형 Journal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現代 獨逸語의 間接話法에 있어서의 「Modus」를 考察해 볼 때, 接續痔?使用이 直說法的 表規樣式으로 代置됨으로써 退潮의 傾向을 보이며 특히 通用語(Umgangsprache)의 間接話法에 있어서는 이러한 傾向이 두드러 진다. 또한 文學語(Dichtungssprache)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傳承되어 온 接續法의 使用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間接話法에 대한 文法理論이 그 言語的 實際를 充分히 記述하지 못하거나 規範上의 混動과 不明確한 要素를 內包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本 論文은 共時的 立場에서 첫째, 間接話法과 「Moduswahl」에 關한 旣存의 一般的 文法理論을 綜合하여 여기에 있어서의 問題點을 把握하고 둘째, 戰後 獨逸文學의 主流를 이루고 있는 H. Bo¨ll의 作品을 現代獨逸語의 具體的 對象으로 삼아, 그의 間接話法的 用例를 蒐集하여 分析하였다. 세째, 이의 結果로서 間接話法의 「Moduswahl」에 있어서 다음의 重要한 現象이 發見된다. 卽 間接話法에 있어서 Konjunktiv Ⅰ/Indikativ의 選擇은 文型(Satzmodell) 내지 文章構造(Satzstruktur)에 依하여 크게 支配되고 있다. 어떤 一定한 文型에 있어서는 Konj. Ⅰ의 使用이 間接話法의 Kriterium으로서 必須的으로 要求되는가 하면 다른 一定한 文型에 있어서는 이의 使用이 전혀 隨意的이? 또한 特定한 文型의 間接話法에 있어서는 Konj. Ⅰ가 그의 眞正한 話法的 價値를 喪失하고 오로지 他者의 言表(Aussage)를 話者 혹은 筆者의 그것과 區分하기 爲한 手段으로 쓰인다. 結論部에서는 이러한 文型과 「Moduswahl」의 相互關係를 中心으로 하여, 「Modus」의 選擇에 關한 文章論的 및 意味論的 觀點의 結論을 試圖해 보았다. 끝으로 특히 間接話法에 나타나는 直說法的 從屬文을 하나의 例外事項으로 돌리는 規範的 文法理論書들의 主張은 修正을 要할 것 같으며 그들은 現代獨逸語의 實際的 言語現象에 步調를 맞추기 爲하여서는 좀더 言語實際(Sprachwirklichkeit)에 가깝고 이에 適合한 規範의 設定을 爲해 努力해야 할 것임을 强調하고자 한다.
more목차
Zusammenfassung
槪 要
A. 緖 論
B. 理論部(Theoretischer Teil)
Ⅰ. 間接話法과 接續法
1. 間接話法의 定義
2. 接續法의 一般的 機能 및 用法
3. 間接話法과 接續法의 相互關係
Ⅱ. 間接話法의 Moduswahl에 關한 一般理論
1. 歷史主義的 規範的 文法理論
2. 記述的·實際的 文法理論
3. 그밖의 重要理論
Ⅲ. Moduswahl에 있어서 共通的 問題點
C. 實際部(Praktischer Teil)
Ⅰ. 間接話法의 Satzmodell分析
Ⅱ. Satzmodell과 Moduswahl의 相互關係
Ⅲ. 話法誘導動詞의 時制와 Moduswahl
Ⅳ. Konj. Ⅰ 및 Konj. Ⅱ의 選擇問題
Ⅴ. 間接話法에 使用되는 Konj. Ⅱ의 機能 및 意味
D. 結論部 (Resu¨mierender Teil)
Ⅰ. 文章論的 觀點에서의 Moduswahl
Ⅱ. 意味論的 觀點에서의 Moduswahl
E. 結語(Schluβwort)
Benutzte Literatur